top of page
On-going Research Projects in KNU (현재 수행 과제)
-
전고체전지 양극복합전극용 혼합 전자/이온 전도체 개발 연구 (Development of mixed electronic and ionic conductor (MEIC) for cathode composite electrode of all solid state battery) - 연구책임자 (PI),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
-
사용후 배터리의 음극소재 선별 및 고순도화를 통한 재자원화 기술개발
(Development of high-valued recycling technology of sorting and purifying anode materials from end-of-life batteries)
- 연구책임자 (PI),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기술개발(R&D)
-
수소환원 니켈 원료로부터 배터리급 고순도 황산니켈 제조 기술개발
(Development of high-purity nickel raw material manufacturing technology for batteries using a carbon reduction process from nickel oxide ore and circulated resources)
- 연구책임자 (PI),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기술개발(R&D)
-
차세대 이차전지 기술선점을 위한 초격차 이차전지 융합 플랫폼 개발 [400 Wh/kg급 고안전 전고체전지 개발]
- 위탁 연구책임자 (PI),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지원사업
-
강원 무연탄 기반 이차전지 음극재용 하드카본 제조 기술 개발 및 배터리 제조 평가
(Development of Hard Carbon Anod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ies Using Gangwon Anthracite Coal and Battery Manufacturing Evaluation)
- 위탁 연구책임자 (PI), 중소벤처기업부 지역혁신선도기업육성(R&D)
-
전기차 충전인프라를 위한 Hybrid ESS용 고출력/고에너지밀도형 슈퍼커패시터기술개발
(Development of high power/high energy density super-capacitor technology for hybrid ESS for EV charging infrastructure)
- 연구책임자 (PI), 산업통상자원부 수요기업 맞춤형 고출력축전기 (슈퍼커패시터)성능고도화기술개발사업
-
슈퍼 프리미엄급 중대형(3만cc 이상) 등방흑연 제조/성형 기술개발
(Development of super premium grade mid-to-large size(over 30,000cc) isotropic graphite manufacturing and molding technology)
- 연구책임자 (PI),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기술개발(R&D)
-
이차전지소재 셀 제조 산업 전문인력양성
(Secondary Battery Industry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Project)
- 참여교수, 한국산업기술평가원
Past Research Projects in KNU (기 수행 과제)
-
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및 복합 양극 소재 연구
(Development of solid electrolyte and cathode composite for all solid state battery)
- 연구책임자 (PI), 포스코 청암재단
-
고출력 인산철 전지용 리튬티타늄산화물기반 음극활물질 개발
(Development of LTO Anode Materials for High rate Lithium iron phosphate Battery )
- 연구책임자 (PI), 강원권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(LINC+) 육성사업
-
이차전지산업 전문인력양성
(Secondary Battery Industry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Project)
- 참여교수, 한국산업기술평가원
-
에너지 · 생체 소재 및 소자 공정 융합 교육연구단
(Research and Educational Program of Energy Biomedical Materials and Device)
- 참여교수, BK21 FOUR
-
소듐이온전지용 흑린계 고용량 음극소재 개발
(Development of Black Phosphorus based High Capacity Anode Materials for Sodium Ion Batteries)
- 연구책임자 (PI), 강원권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(LINC+) 육성사업
-
전력 그리드 안정성 확보를 위한 연료전지-에너지저장장치 하이브리드 에너지 시스템용 전고체 에너지저장장치 기술 개발
(Solid state energy storage system of fuel cell-energy storage system hybrid energy system for power grid stability)
- 연구책임자 (PI), 2022년도 강원지역 데이터 기반 스마트수소에너지 핵심기술개발과제
-
지정폐기물 활용 슈퍼커패시터용 다공성 탄소전극 소재 기술 개발
(Development of supercapacitor carbon electrode using waste pitch materials)
- 위탁연구책임자 (PI),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
-
저온 출력 특성 향상을 위한 Bi-functional 기능성 첨가제 및 이를 활용한 고효율·고안전성 리튬이차전지 셀 개발
(Development of Bi-functional electrolyte additive for high performance LIB)
- 위탁연구책임자 (PI),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
-
나노탄소 기공 개질을 통한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용 고효율 리튬 담지 소재 개발
(Development of lithium metal reservoir through pore modification of nanocarbons for next-generation energy storage devices )
- 연구책임자 (PI), 한국연구재단
-
Fuel Cell Electric Vehicle (FECV) 고출력 파워 어시스턴트 슈퍼캡 소형화를 위한 3.5V급 슈퍼커패시터 파우치 셀 개발
(The Development of High Power Assistant 3.5V Supercapacitor Cell for Fuel Cell Electric Vehicle)
- 연구책임자 (PI), 현대자동차 (현대엔지비)
-
고출력 리튬이온전지용 리튬인산철/나노탄소 복합소재 개발
(LFP/nanocarbon composite materials for high performance cathode materials in Li-ion battery)
- 연구책임자 (PI), 강원권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(LINC+) 육성사업
-
다공성 나노탄소 기반 리튬-황 전지용 소재 개발
(Porous nanocarbon based materials for lithium-sulfur battery)
- 연구책임자 (PI), 한국연구재단
-
리튬이온(일차)전지의 성능향상을 위한 양극활물질용 CFx/탄소복합소재 개발
(CFx/carbon composite materials for high performance cathode materials in Li-ion battery)
- 연구책임자 (PI), 강원권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(LINC+) 육성사업
Project: 교육 활동
bottom of page